반응형

 

안녕하세요 리뷰포터입니다.

오늘은 집값이 오르는 근거있는 이유와

집값하락의 이유를 알아보겠습니다.

 

 

 

 

 

집값 하락의

대표적인 근거

알아보기

 

 

소유 의식 강화

꼭 집을 사야 하나?라는 질문을 한두 번쯤 마음속으로 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집을 막상 사자니 비싸기도 비싸고 집값이 떨어지면 손해를 보게 될 것이니

살 필요가 있을 까 싶은 것이다.

이러한 생각들은 당신만 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젊은 세대의 중심으로 소유 의식이 많이 약화되고 있다.

무리해서 집을 사기보다는 돈으로 차라리 즐기거나 생활을 풍족하게

유지하겠다는 생각을 했으면 좋겠다.

 

부모님 세대에게 집은 사야할까라는 질문이 아니라 무조건 사야하는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미혼 세대에게는 집이 주거 서비스 상품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

2000년대 초반까지 아파트는 매매 아니면 전세로 거래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는데

월세 비중이 커진 것이 이를 증명한다.

 

 

 

 

인구감소

대한민국에서 저출산과 고령화는 한창 진행 중이다.

저출산 현상으로 인해 대한민국의 인구가 줄어들고 있고

고령화로 인해 경제활동을 할 수 있는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

위아래로 인구 감소가 진행되고 있는 싱황이다.

 

인구가 줄어들면 주택 수요의 감소를 의미한다는 것

지금은 집값이 비싸지만 인구가 줄어 집을 필요로 하는 사람이 줄어들면

집이 남아돌게 될 것이라는 뜻입니다.

물건이 남아돌면 비싸게 거래할 필요가 없어지기에 인구

감소는 집값 하락의 대표적인 근거로 제시됩니다.

 

 

1인가구 증가

혼밥,혼술 등의 대표되는 1인가구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혼자 사는 1인가구는 넓고 비싼 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편하게 지낼 수 있는 공간이면 충분하며 번듯하게 아파트를 사야 한다는 목표를

가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주택을 포기함으로써 남는 자금을 자동차나 취미생활에 소비한다.

즉 주택 수요가 줄어드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도 주택 수요에 대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싶습니다.

 

 

 

 

 

집값 상승의

대표적인 근거

알아보기

 

유동성으로 인한 상승

화폐가치가 떨어지고 은행금리가 저금리인 상황이 유지되면서 투자 상품으로서의

아파트는 값이 오를 것이라는 주장이다. 실제 부동산 경제학에 따르면

부동산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원인이 대출금리라고 한다. 대출을 받아도 부담이 적은

저금리 상황에서는 부동산 매입 부담이 줄어드니 투자 또는 투기 수요가 많아지고,반대로

은행금리가 높아지면 부동산 매입 수요가 줄어들게 됩니다.

 

 

 

전통적 투기 심리

부동산은 사두면 언젠가는 오른다는 인식들이 많다.

서울 강남 지역은 강남불패라 여겨지지 않는가? 언제든 여건만 되면

부동산을 매입하고자 하는 수요가 있기 때문에 부동산 경기만 좋아지고

규제만 조금 풀리면 언제든 상승할 수 있다는 주장이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